스위치
L2, L3, L4 : 스위치 종류
L2 Switch
OSI7 layers에서 2Level은 data link layer.
L2 Switch는 Ethernet level에서 동작할 뿐, 그 상위 레이어인 Network layer에서 동작하는 IP등을 이해하지 못한다.
다시 말해, IP adress를 이해하지 못하므로 라우팅이 불가능.
L3 Switch
3 layer의 프로토콜인 IP 등에서 스위칭을 수행하므로, 자신에게 온 패킷의 destination이 외부에 존재하는 IP일 경우,
그 패킷을 외부에 연결된 라우터로 보내줄 수 있다.
즉 L3 switch는 라우터 기능도 갖고 있기 때문에 라우터와의 경계가 모호해진다.
L4 Switch
4 layer의 프로토콜인 TCP/UDP 등에서 스위칭을 수행.
TCP 와 UDP등의 헤더를 보고 그것이 FTP인가 HTTP인가 SMTP 인가를 보고, 어떤 것을 우선시해서 스위칭 할지 판단.
즉, 로드 밸런싱이 가능 (L3이하에서는 불가능)
L7 Switch
L7 스위치는 OSI 의 7 레이어 즉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동작
이를테면 이메일의 제목이나 문자열을 보고 내용을 파악한다거나 HTTP 의 URL, 또는 FTP의 파일명, 쿠키 정보, 특정 바이러스의 패턴 등을
분석해서 보안에 더욱 유리하고 더욱 정교한 로드 밸런싱이 가능해진다.
사실 어플리케이션 레벨의 데이터를 다 다룬다는 것은 불가능하고
L7 스위치는 단지 패킷의 내용을 조금 더 참조하여 약간 intelligent 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된 것 뿐이다.
쉽게말해 L7 스위치라는 것은 마케팅용어라고 볼 수 있다.
*라우팅 routing
:어떤 네트워크 안에서 통신 데이터를 보낼 때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
- 서버 이중화구조
1) Active-Active 구조
: L4 스위치 등의 부하분산 (SLB) 로드 밸런싱을 통해 기능 또는 성격 등에 따라 1번,2번 서버로 나누어 처리하도록 구성.
(웹 서버 이후에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근이 필요한 경우에도 2개이상의 서버를 둔다.
-> 스위치의 역할이 로드 밸런싱 ( 로드 밸런싱은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의 일종으로 둘 혹은 셋이상의 중앙처리장치 혹은 저장장치와 같은 컴퓨터 자원들에게 작업을 나누는 것을 의미 )
2) Active-Standby 구조
: 서버를 이중화하여 구성하지만, 장애시에만 서비스를 이전하여 운영하는 형태로 구성.
https://ngg3319.tistory.com/102
L2, L3, L4, L7 스위치란 무엇인가?
질문 : L2, L3, L4, L7 스위치란 무엇인가? 요약 : L2, L3 등은 OSI의 7 레이어 중 어떤 레이어에서 수행되는가에 따라 정의된 분류이다. 설명 : L2 Switch 가장 원초적인 형태의 스위치는 L2 스위치이다. 원
ngg3319.tistory.com
위 출처의 글을 공부하면서 정리한 글입니다.